반응형 복지유형1 복지국가의 유형(Esping-Andersen) Esping-Andersen(에스핑-앤더스)의 복지국가 모형은 1990년대~2000년 초기까지의 가장 대표적인 모형입니다. 학부시절 엄청 강조해서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그는 탈상품화와 계층화 두 가지를 기준으로 복지국가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합니다. 여기서 탈상품화는 근로자가 자신의 노동력을 시장에 상품으로 내다 팔지 않고도 살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즉 국민 개개인이 질병, 실직, 은퇴, 사회적 변화와 같은 요인으로 노동시장에서 이탈되었을 때 국가의 사회보장제도가 어느 정도 임금을 보전함으로써 노동시장에 대한 의존성을 낮춰 주면 개인은 노동시장에 의존하지 않아도 보편적 수준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탈상품화가 높을수록 복지 선진국으로 볼 수 있으며 탈상품화의 정도는 자유주의, 조합주의, 사회.. 2023. 1.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