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출산2 대한민국은 이미 고령사회(aged-society)입니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당면 과제 중 하나는 저출산 고령화라는 것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지난번에는 0.8이라는 출산율로 세계 최저 수준임을 확인했는데 이번에는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어느 정도에 와있는지 알아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짚어보려고 합니다. 1.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 인구를 나이에 따라 세 그룹으로 구분할 때 보통 0~14세까지는 유소년인구, 15~64세는 생산 가능 인구, 65세 이상의 인구를 고령 인구라고 합니다. 이러한 인구 구분 기준으로 UN에서는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 사회를 구분할 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를 넘을 때 해당 국가를 고령화사회로 구분합니다.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를 넘어가면 초고령사회 .. 2023. 1. 16. 출산율 꼴찌 0.81명 (출산 장려 정책 시행 변천사) 우리나라의 2021년 합계 출산율은 0.81명으로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8곳 중 최하위를 최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불과 50년 전만 해도 아이를 그만 낳자는 정책으로 인구 증가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이제는 저출산이 국가적으로 큰 문제에 봉착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출산 정책은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그 변천사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산아제한 1968년에 산아 제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이당시 한국의 인구수는 약 2,500만 명이었습니다. 인구구조는 유소년증, 생산연령층, 노인층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당시에는 생산연령층 인구가 55%, 유소년층 42%, 노인층 3%의 인구구조로 먹여 살려야 하는 부양인구가 전체 인구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한국 전쟁 이.. 2023. 1.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