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정보

도시 가스비 감면과 절약 캐쉬백 신청(전국민) , 난방비 절약하기

by 알럽껌딱지 2023. 1. 27.
반응형

작년 10월 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되었습니다. 다행히 한국가스공사는 취약계층을 위한 도시가스 요금 감면 확대 시행을 발표하였습니다. 즉 동절기 취사와 난방을 위한 가스비 감면 금액을 12~3월 동안 50% 더 확대하여 준다니 반가운 소식입니다. 또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운영하는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도가 있으니 알아보려고 합니다.

도시가스 감면 신청 대상자 및 신청방법

가스비 감면은 자격을 갖춘 신청자에게만 적용됩니다. 감면대상자인지 잘 확인하시고 자격에 해당된다면 꼭 신청하시어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작년에만 40만 가구가 알지 못하여 혜택을 받지 못했다고 하니 정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알 수 있습니다.


감면대상자

  • 감면대상-중증장애인,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다자녀가구(3자녀이상)

세대별 주민등록표상 세대주와의 관계가 "자" 또는 "손"이 각각 3인이상으로 표시된 주거용 주택의 세대주는 다자녀가구에 해당되어 도시가스 요금감면을 받을 수 있으며 만 18세 미만의 "자" 또는 "손"의 확인은 주민등록등본이나 가족관계증명서로 확인합니다(사회적 배려대상자에 대한 도시가스요금 경감지침 참고)

  • 적용시기- 요금경감 신청한 날의 다음날 사용량부터 적용
  • 감면적용용도- 주택용: 취사, 난방 / 중앙난방: 난방

 

신청방법

1)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방문 시에는 반드시 고지서를 지참하여야 고객번호(사용자번호)를 확인하여 신청가능합니다. 주민센터의 안내대로 신청서를 작성하시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간혹 통신 장애로 누락되는 경우가 있으니 다음 달 고지서의 요금 감면까지 확인하시길 추천합니다.
요즘은 주민센터에서 '복지대상자 요금 감면 신청서' 한 장으로 전기, 가스, 지역난방비, 이동통신비용까지 한 번에 감면 신청이 되니 해당이 되시는 분들은 각각의 고지서를 꼭 갖고 가셔서 한번에 신청하시면 더욱 좋겠습니다.

2) 도시가스 회사에 직접 접수
도시가스회사의 고객센터에 신청하는 것도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도시가스 회사는 지역마다 공급처가 다르니 거주하시는 곳의 도시가스 회사는 한국도시가스협회 홈페이지(클릭하시면 바로 연결됩니다)에서 거주 지역을 넣고 검색하시면 바로 연락처가 나오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지원 제도

전 국민을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전년도 사용량보다 7%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주택 개별난방이나 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시는 분은 12월~ 1월 두 달 동안 신청가능합니다.


절약기간은 22년 12월부터 23년 3월까지로 저년보다 7% 이상 절약하면 절감률 별로 차등하여 캐시백을 지급합니다.

  • 7% 이상 절감 시 : 30원/㎡
  • 10% 이상 절감시 : 50원/㎡
  • 15% 이상 절감시 : 70원/㎡

신청기간이 며칠 남지 않았으니 어서 신청하셔서 꼭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https://k-gascashback.or.kr/ko/) 바로가기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copyrighty(c) K-가스캐쉬백 all rights reserved

k-gascashback.or.kr

반응형

 

난방비 절약 방법

가스 감면 신청에 해당하여 감면을 받거나 캐쉬백을 받아도 가능하면 에너지 절약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겨울철 난방비 절약을 위한 방법을 알아보면,

보일러 사용법
1. 온수는 '고'가 아닌 '중'으로 설정. 온도는 40~45도 정도가 적당
2. '외출' 버튼 혹은 전원 꺼두기 금지 - 외출 버튼은 잠시 집을 비울 때가 아닌 장기간 집을 비울때 동파방지를 위해 켜놓는 용도이며 아예 보일러를 꺼놓고 외출을 하면 떨어진 온도를 다시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됨.
3. 2~3년마다 배관청소를 주기적으로 해주면 효율이 높아지고 보일러 동파 방지.

단열용품 사용하기 : 커튼이나, 뽁뽁이를 창문 쪽에 붙여서 열이 창문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해 줌
카펫이나 러그 깔기
가습기나 빨래 널어 두기 : 적당한 습도는 열전달이 잘돼 온도유지에 도움이 되니 너무 건조하지 않게 가습기 켜두거나 빨래를 널어 두면 도움이 됨
옷 겹쳐 입기 : 집안에서 얇은 옷 여러 겹 겹쳐 있거나 수면양말 같은 보온용품 사용하여 체온 유지하기

실내 온도를 1도를 낮추면 난방비가 7% 절감됩니다. 정부가 권장하는 겨울철 실내온도 18~20도를 유지하며
난방비 절약을 위한 방법들을 습관화하여 난방 비용도 절약하고 지구 환경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댓글


</